고지혈증약 로수젯정 부작용, 원인이 이거였다니


독일의 한 연구원에 따르면 HMG-CoA라는 환원효소를 이용해 간이 콜레스테롤을 생성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이 환원효소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물질이 스타틴이라는 것을 밝혀냈고, 현재 우리에게 익숙한 고지혈증 약이 탄생하게 되었다.



  • 고지혈증약 스타틴의 부작용 2가지
  • 근육통
  • 혈당 상승



고지혈증약 스타틴의 부작용 2가지


근육통


고지혈증을 갖고 있는 사람들 10명중에 1명이 흔히 경험하는 부작용이다.

근육세포를 생성하는데 콜레스테롤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데 스타틴 계열의 약들이 콜레스테롤 합성을 차단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부작용이다.

특히 몸집이 작은 고령자나 신장기능 저하 질환이 있거나 다량의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스타틴의 농도가 혈중에 과다하게 높아져 발생한다.





혈당 상승


이 증상 또한 10명중에 1-2명에게서 발생하는 증상으로 주로 당뇨가 동반된 환자에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고지혈증을 갖고 있는 환자 대부분이 근육통이나 혈당상승을 억제시키기 위해 코엔자임큐텐을 복용하게 된다.





고지혈증약 스타틴을 복용하면서 근육통과 혈당상승을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스타틴의 농도를 조절하여 과다하게 투여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답글 남기기